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OM
- 비과세 근로소득
- KSystem
- 영업프로세스
- 수불부
- 실제원가
- 제조원가
- 원가계산
- 스마트공장
- 정보시스템
- 거래처관리
- 워크센터
- 제조업
- 기타출고
- 부가세신고
- 영업관리
- 재고관리
- 생산관리
- 영림원
- ERP
- 급여처리
- 기업정보시스템
- 시스웨어
- 무상사급
- 기준정보
- 아이들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기초업무관리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자재출고
- Today
- Total
목록기업정보시스템 (125)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기업정보시스템의 구축을 원하는 중소기업에게 희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2018년 12월 13일(목)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기부, 산업부 등 9개 부처는 '18.12.13(목), 경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으로 중소기업 제조강국 실현' 이라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관계부처 합동]을 발표하였습니다. 보도자료의 전체 내용 중에 가장 주목할만 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8페이지에 '스마트공장 구축 희망 기업은 전부 지원 ('22년까지 3만개)' 라고 되어 있습니다. 세부항목이 존재하나 결국 지원요청을 하는 중소기업은 지원을 전부 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또한, (고도화) 지원에 대한 규모를 대폭 늘렸..
이전 포스트에서 구매관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SCM의 적용 사례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광의적으로 기업에서 생산 및 유통의 모든 공급 단계를 최적화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 를 뜻합니다. 즉, SCM은 부품공급업체 및 고객에 이르기까지의 거래관계에 있는 모든 협력사들 간 I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SCM은 크게 고객의 주문과 주문진행상태를 공유하는 부분과 상품 또는 부품에 대한 공급망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자는 쇼핑몰의 배송상태 조회와 같이 기업과 고객의 연결이며, 후자는 기업과 공급업체 ..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선 포스트에서 거론하였던 MRP 적용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RP는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서 출발된 시스템이지만, 거의 대부분의 기업들이 MRP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가장 근본적인 이유가 MRP를 돌리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특정부서(구매부) 단독이 아닌, 전사적인 정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ERP를 OPEN 한 후, 일정기간의 안정화 이후에 MRP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MRP는 근본적으로 '생산과 판매에 차질이 없게 자재를 가장 최소한의 재고 보유로 조달한다' 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산과 판매에 차질이 없게' 와 최소한의 재고..
구매관리는 크게 적정 발주량을 산정하여, 발주하는 부분(Plan)과 협력사에서 납품한 품목을 입고하고 정산하는 부분(Do)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 2가지 부분은 프로세스로 이어져서 관리되어집니다. 발주는 입고와 연결되어 정산되어지고, 발주된 품목과 입고된 품목은 적정 발주량을 산정하는 데 사용되어 집니다. [ 기본 구매(내수) 프로세스 ] 위의 구매(내수) 프로세스는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프로세스입니다. ERP의 구매관리 시스템을 가장 간단하게 사용하는 형태가 구매발주 -> 구매납품 ->정산 인 형태 일 것입니다. 정보시스템에서는 발주서를 출력하고, 재고관리를 위한 입고, 회계처리를 위한 정산부분만 사용되어지고, 그 외의 기능인 발주량산정(MRP), 수입검사관리, LOT관리 등은 사용되어지지 못하..
기업의 정보시스템 확충에는 많은 투자가 필요합니다. 기업에게는 많은 부담으로 여겨질 것입니다. 정부에서는 기업의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크게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중소기업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는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의 정보 시스템 확출을 위한 지원을 계속해 왔는데요. 요즘은 "생산현장디지털화" 라는 사업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생산현장디지털화 사업 : 생산공정의 비효율적 요소 제거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별 맞춤형 정보시스템(POP, MES 등), 생산정보시스템과 연계 가능한 시스템(생산계획, 물류․공정관리 등) 및 원산지증명시스템 구축 지원 "레벨업, 확장" 에 해당하는 부분이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부분인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상품과 원자재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품 : 매입한 품목에 별도의 가공을 가하지 않고, 판매하는 품목 상품은 위의 정의처럼 매입하여, 이를 그대로 판매하는 품목을 말합니다. 품목코드 하나로 매입과 판매가 이루어지는 품목을 이야기합니다. 수불부 상에 구매란과 판매란에 나타나게 됩니다. [영림원 소프트랩 - 상품 수불부] 구매란의 수량과 금액은 해당 상품의 구매내역을 집계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판매란의 수량은 매출처리가 된 상품의 수량을 집계합니다. 판매원가는 상품의 재고평가방법(총평균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에 의해 계산된 단가와 매출 수량을 곱하여 나타냅니다. 재고란의 수량과 금액은 기초 + 입고 - 출고 로 나타냅니다. 원자재 : 주된 상거래 품목인 제품..
제조업의 생산현장에서 제품 또는 반제품을 생산하기위해 원자재 또는 부자재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를 원가 상에서 재료비라는 항목으로 제품 또는 반제품의 원가에 산입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생산현장에서는 제품 또는 반제품의 생산이력을 남길때 어떤 자재를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기록해야만 합니다. 이렇게 산출된 재료비를 MC(Material Cost)단가라고 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원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라도, MC단가보다 낮게 팔면 안되겠지요. 간혹, 제품을 개조하여 다른 제품을 만들거나, 영업영역이 확장되어 기존 제품을 가지고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즉 제품에 제품을 투입하는 형태입니다. 제품은 더이상 투입되지 않는 최종단계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정상..
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업정보시스템으로 ERP와 그룹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ERP와 그룹웨어는 각각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 경계를 잘 구분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RP와 그룹웨어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이에 대한 연동부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RP란 인사/급여, 회계, 영업, 구매, 생산, 물류, 품질 등의 각 기업 단위 업무를 통합하여 전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업경영을 위한 시스템입니다. ERP의 모듈 구성을 보면, 거의 기업의 조직과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단위업무를 ERP 시스템이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ERP 시스템을 통해 각 단위업무를 프로세스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Groupware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