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영업프로세스
- 기준정보
- 자재출고
- 기업정보시스템
- 스마트공장
- BOM
- 워크센터
- 수불부
- 시스웨어
- 정보시스템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KSystem
- 원가계산
- 기타출고
- 부가세신고
- 비과세 근로소득
- 제조업
- 무상사급
- 아이들
- 실제원가
- 영림원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급여처리
- 생산관리
- 제조원가
- 기초업무관리
- ERP
- 거래처관리
- 재고관리
- 영업관리
- Today
- Total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SCM - 공급망 관리 적용 사례 본문
이전 포스트에서 구매관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SCM의 적용 사례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광의적으로 기업에서 생산 및 유통의 모든 공급 단계를 최적화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 를 뜻합니다. 즉, SCM은 부품공급업체 및 고객에 이르기까지의 거래관계에 있는 모든 협력사들 간 I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SCM은 크게 고객의 주문과 주문진행상태를 공유하는 부분과 상품 또는 부품에 대한 공급망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자는 쇼핑몰의 배송상태 조회와 같이 기업과 고객의 연결이며, 후자는 기업과 공급업체 간의 연결입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기업과 공급업체 간의 연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기업에서는 자재나 상품을 협력사에게 공급받아 생산하거나,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발주된 내역을 공급업체에서 확인하고, 이에 따른 납품을 진행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정보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업과 협력사와의 업무진행을 원활히 하도록 SCM을 구축합니다. 구매프로세스에서 발주->납품->입고 단계를 SCM으로 협력사에게 공유하고,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하기 Process Map은 SCM을 구축한 A사의 사례입니다.
[A社 SCM Process Map]
A社는 전사적 업무 관리 시스템인 ERP와 Web 환경으로 구성된 SCM과 연결시킨 사례입니다. ERP는 사내 방화벽이 구성되어 외부의 접근이 막혀있는 상태이므로, 협력사들이 직접 접근하기는 어려운 환경입니다. 또한, ERP의 사용환경은 각 기업마다 공급된 ERP에 따라 각각 다르므로, 협력사들이 이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들것으로 예상되어, 협력사들이 접근하기 쉬운 Web 환경으로 SCM을 구축하였고, 이를 특정 port를 통해 ERP와 연결하는 방식을 택하였습니다.
크게 보면 SCM의 구성은 도면조회, 발주내역, 납품처리, 거래원장의 구매납품관리와 공지사항, 견적관리 로 나누어집니다. 공지사항과 견적관리는 등록된 공지사항과 견적요청 내역을 협력사들이 열람하고, 댓글 또는 견적을 첨부하여 등록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매납품관리는 ERP의 구매프로세스와 연결하여, 발주부서와 협력사의 정보 공유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매납품관리는 ERP에 구매발주를 입력하게되면, SMS로 해당 협력사로 발주공지를 전달하게 됩니다. 협력사는 SCM Web Site에서 발주된 내역을 확인하고, 발주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협력사에서는 발주된 품목에 대한 도면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협력사는 발주 내역에 대해 납품예정일을 분할하여 입력하고, 이는 ERP의 납품예정현황으로 구매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품목이 준비되어 납품되는 시점에 협력사가 SCM Web Site에서 구매납품을 등록하면서 거래명세서를 출력하고, 품목과 함께 납품하게 됩니다. 담당자는 납품된 품목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입고를 진행하게 됩니다. 납품 수량이 10개로 등록하더라도, 납품확인되고, 입고된 수량이 8개라면 입고된 수량으로 거래원장이 나타나게 되고, 협력사에서 SCM Web Site에서 확인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구매프로세스 전체가 협력사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납품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SCM은 자재/상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결국 고객이 원하는 날짜에 제품이나 상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업자체의 프로세스를 원할하게 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 뿐아니라, 협력사와의 긴밀한 협력과 정보공유가 필요합니다. SCM은 이를 충족시켜 기업과 협력사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처리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업정보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 기준 정보 구성 (0) | 2019.01.14 |
---|---|
2019년도 스마트공장 정부지원금 확대 (0) | 2019.01.11 |
MRP 적용 방안 (0) | 2019.01.02 |
가장 쉽게 사용되어지지만 활용도는 적은 구매관리 (0) | 2019.01.01 |
정부자금 지원으로 정보시스템 구축 (0) | 2018.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