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급여처리
- 생산관리
- 기업정보시스템
- 기초업무관리
- 기준정보
- 거래처관리
- 스마트공장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자재출고
- 기타출고
- 워크센터
- 수불부
- 재고관리
- 시스웨어
- BOM
- 영업프로세스
- 정보시스템
- 원가계산
- 제조원가
- 제조업
- 아이들
- 영림원
- ERP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무상사급
- 실제원가
- 비과세 근로소득
- 부가세신고
- 영업관리
- KSystem
- Today
- Total
목록영업프로세스 (3)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기업은 이윤을 창출을 목표로 하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무언가를 사서, 가공 또는 조립해서 팔거나, 이윤을 얻어서 팔거나, 용역 또는 서비스를 팔는 행위를 하게 됩니다. 여기서 "판다" 라는 행위를 영업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영업은 내수영업과 수출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이번 장에서는 내수영업을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무언가를 파는 것은 계산서를 발행하게 되어 있습니다. 계산서는 파는 행위 건마다 발행할 수도 있고, 일정기간(월)에 판매한 건들을 묶어서 한번에 발행할 수도 있습니다. 기업과 기업간의 거래에서는 거의 다 한번에 발행하고, 이를 계산서마감을 한다 라고 통상 이야기 합니다. 이 계산서는 거래행위를 한 달의 익월 10일까지 발행하도록 관세관청에서 통제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세금계산서 내역을..

거래처에 샘플 또는 견본을 보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판매 출고를 하는데, 여분으로 추가 수량을 보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품목을 판매출고와 다른 형태인 샘플 또는 견본, 무상 출고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타출고라는 항목으로 처리하게 됩니다. 기타출고는 정해져 있는 출고 루트(제품/상품은 판매출고, 원자재/부자재는 투입 및 판매출고)를 제외하고, 재고를 빼내야 할 때 사용합니다. ERP 내에서 재고자산은 모두 돈입니다. 그러므로, 기타출고도 각각의 출고구분에 따라 처리 회계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견본출고는 견본비, 샘플출고는 광고선전비 처럼 말입니다. 이렇게 기타출고는 다른 형태의 출고이므로, 기타출고처리라는 별도의 화면에서 처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게 영업/물류 입장에서는 여간 불편한게 아닙..
ERP에서는 기업의 영업부 및 영업관리(지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업무에 대해 업무 절차에 맞는 흐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크게 영업의 업무흐름은 아래와 같이 움직이게 됩니다. 위의 그림처럼 영업의 업무흐름은 고객으로 부터 받은 수주를 입력하고, 준비된 수주건 별로 거래명세서를 입력하여, 출고처리하고, 출고 시점마다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거나, 월 합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흐름으로 이루어집니다. 거의 모든 회사의 영업 업무의 기본 뼈대는 수주입력, 거래명세서 입력, 세금계산서 입력이 됩니다. 각 단계에 대해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주입력 수주입력은 말 그대로, 고객, 소비자, 거래처로부터 주문 받은 내용을 ERP에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등록된 수주의 주요한 정보는 주문일자, 거래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