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거래처관리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기준정보
- 무상사급
- 제조원가
- 비과세 근로소득
- 스마트공장
- BOM
- 워크센터
- 수불부
- 영업관리
- 기타출고
- 기업정보시스템
- 재고관리
- KSystem
- 제조업
- 영업프로세스
- 시스웨어
- 원가계산
- 자재출고
- 아이들
- ERP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기초업무관리
- 생산관리
- 실제원가
- 정보시스템
- 영림원
- 부가세신고
- 급여처리
- Today
- Total
목록스마트공장 (6)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지원계획에 대한 공고가 2019년 2월 13일에 보도되었습니다. 앞선 포스트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작년보다 2.6배정도의 예산과 4천개의 기업지원으로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주요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로봇활용 제조혁신 지원 스마트 마이스터 스마트화 역량강화 스마트화 수준확인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업에 ICT를 적용하여 제조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을 확산하겠다는 목적입니다. 전체적인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장 주목해야 할 사업인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은 신규구축이 최대 1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고도화인 경우, 구축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고보조금의 형태는 투자유치, 연구개발 장려, 고용증대 등 여러가지 목적의 지원 형태가 있습니다. 이러한 국고보조금에 대한 회계처리 과정은 법인세 세액공제/감면과 법인세 이외의 형태에 의한 현금직접지원에 따라 각각 다르게 처리해야합니다. 여기서, 2019년도 스마트공장 정부지원금 확대에 따른 지원자금의 수령은 유형자산 취득에 따른 지원목적에 부합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트는 스마트공장 정부지원금에 대한 회계처리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기업 A는 2018년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에 참여하여, 총 구축금액 200,000,000원으로 ERP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50%인 100,000,000원을 지원받았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계정과목 생성 : 지원금에..
기업정보시스템의 구축을 원하는 중소기업에게 희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2018년 12월 13일(목)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기부, 산업부 등 9개 부처는 '18.12.13(목), 경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으로 중소기업 제조강국 실현' 이라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관계부처 합동]을 발표하였습니다. 보도자료의 전체 내용 중에 가장 주목할만 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8페이지에 '스마트공장 구축 희망 기업은 전부 지원 ('22년까지 3만개)' 라고 되어 있습니다. 세부항목이 존재하나 결국 지원요청을 하는 중소기업은 지원을 전부 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또한, (고도화) 지원에 대한 규모를 대폭 늘렸..
기업의 정보시스템 확충에는 많은 투자가 필요합니다. 기업에게는 많은 부담으로 여겨질 것입니다. 정부에서는 기업의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크게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중소기업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는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의 정보 시스템 확출을 위한 지원을 계속해 왔는데요. 요즘은 "생산현장디지털화" 라는 사업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생산현장디지털화 사업 : 생산공정의 비효율적 요소 제거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별 맞춤형 정보시스템(POP, MES 등), 생산정보시스템과 연계 가능한 시스템(생산계획, 물류․공정관리 등) 및 원산지증명시스템 구축 지원 "레벨업, 확장" 에 해당하는 부분이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부분인데요..
현재 기업의 비즈니스 중심은 엔지니어에서 고객으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과거의 비즈니스는 R&D 엔지니어가 새로운 제품 아이디어를 내놓고, 회사가 그 아이디어를 수용하면 신제품이 출시되는 형태였습니다. 하지만, 고객과의 기업의 소통이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고객의 Needs가 새로운 제품 아이디어로 이어지고, 이를 신제품으로 출시하는 형태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와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어떤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바로 알 수 있어 제품을 즉시 수정/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무시하게 되면, 소비자와 고객에게 바로 외면 받는 현상에 맞닥드리게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예전의 소품종 대량 생산방식 체제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체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형화되고 규격..
컴퓨터와 인터넷을 대표되는 제3차 산업혁명(정보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된 ‘제4차 산업혁명(제2차 정보혁명)’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등의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사회ㆍ경제 전반에 깊숙이 침투하여,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제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성(Superintelligence) 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서, 더 넓은 범위에 걸쳐서 더 빠른 속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을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 목적을 두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