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수불부
- 자재출고
- 거래처관리
- 제조업
- 기업정보시스템
- 아이들
- 정보시스템
- 워크센터
- 스마트공장
- 영업관리
- 부가세신고
- 비과세 근로소득
- 영업프로세스
- 생산관리
- 시스웨어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실제원가
- 무상사급
- 제조원가
- 원가계산
- 기준정보
- KSystem
- 영림원
- 급여처리
- 기타출고
- ERP
- 기초업무관리
- 재고관리
- BOM
- Today
- Total
목록자재출고 (3)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자재의 매입은 구매팀이 담당하며, 입고 시, 자재팀이 담당하는 자재창고로 입고됩니다. 이 자재들은 생산현장으로 출고되어 제품 또는 반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게 됩니다. 자재가 생산현장으로 출고되는 과정을 효율척으로 통제하기 위해 각 자재별로 출고구분을 정의하게 됩니다. 1. 작업지시와의 연결여부 먼저 주요 원자재와 같이 출납이 철저히 관리되어야 하는 자재는 '작업지시별 출고'를 사용합니다. '작업지시별 출고'는 작업지시에 따른 소요량만큼을 작업지시별로 출고하게 되며, 사용후 남은 자재에 대해서도 작업지시별로 반납되게 됩니다.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지시에 따른 생산과 투입실적이 관리되므로, 작업지시별로 출고량 투입량 반납수량 잔량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작업지시별로 출고가 진행되므로, 동일..

어느 날, 의자 만드는 공장 안을 시찰(?) 해보니 공장 안이 엉망인 것을 알았습니다. 재고를 쌓아두는 공간이 부족하여, 자재와 생산품이 뒤죽박죽 섞여 있고,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생산해야 할 공간도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실제로 확인된 자재의 수량과 기록된 자재의 수량이 너무나 많이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재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생산팀, 생산관리팀은 생산에 중점을 두게하고, 생산을 위한 필요 자재를 준비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자재팀 부서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자재팀의 중점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재창고의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것 생산을 위한 자재를 준비하고 출고 할 것 파악하기 어려운 생산현장의 재고를 최대한 줄일 것 불필요하게 소..
제조 기업에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재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자재가 입고되어, 제품에 사용되기까지 아래와 같은 물류 흐름이 이루어집니다. 자재입고과정 거래처에서 매입하여, 원재료, 부재료 창고에 입고되는 과정은 구매발주에 대해 거래처가 거래명세서와 자재를 납품장소에 가져오는 것부터 시작입니다. 납품장소에 가져오게되면, 구매팀이나 자재팀에서 내려와 거래명세서와 실제 자재에 대한 수량과 육안검사를 시작합니다. 확인이 완료되면, 해당 자재를 바로 창고에 입고하는 것이 아니라, 검사품인 경우에는 검사대기 zone에 옮겨 놓고, 품질팀에 검사를 의뢰합니다. 품질팀은 기능검사, 성능검사와 같은 검사를 납품량 전체를 다하는 전수검사나, 일부 샘플만 검사하는 샘플검사를 진행하여, 합/불 판정을 내립니다. 합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