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스웨어
- 기업정보시스템
- 거래처관리
- 원가계산
- 영업프로세스
- 영림원
- 영업관리
- 기타출고
- 워크센터
- KSystem
- ERP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자재출고
- 기준정보
- 실제원가
- 급여처리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생산관리
- 재고관리
- 제조업
- 기초업무관리
- 부가세신고
- 아이들
- 정보시스템
- 제조원가
- 무상사급
- 비과세 근로소득
- 스마트공장
- 수불부
- BOM
- Today
- Total
목록영림원 (11)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이전 포스트에서 수입은 운송 중인 품목에 대해 재고자산 계정인 미착품 계정을 사용한다고 이야기 드렸습니다. 수입은 아직 창고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품대금을 지급하게 되므로, 회계 상의 대금 지급과 실제 재고 자산의 귀속이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도착하지 않은 재고자산을 의미하는 미착품 계정을 먼저 사용하고, 도착 후에 미착품을 원재료 또는 상품 등의 재고자산으로 대체하게 됩니다. (미착대체) 위의 그림과 같이 미착품 계정이 물품대금 지급 시점에 생겼다가, 미착대체 처리를 통해 원재료로 대체되게 됩니다. 물품대금의 미착품 인식 시점은 EXW, FOB, CIF, DAP 등과 같은 가격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ERP 에서는 물품대금에 대한 미착품 회계처리를 가격조건에 따라 수입Invoice,..
제조회사는 원/부자재를 다른 회사에서 매입하여,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를 합니다. 물류회사는 상품을 다른 회사에서 매입하여, 유통 과정을 거쳐서 판매를 합니다. 이러한 매입 행위는 자국 내의 회사에서 매입과 해외 업체에서 매입으로 나눌 수 있으며, 내수 구매와 수입으로 구분됩니다. ERP System에서는 구매 모듈 안에 내수 구매와 수입 프로세스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영업 모듈도 내수 판매와 수출 프로세스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 이번 프로세스는 구매 모듈 중의 수입 프로세스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말씀드린데로 수입 업무는 해외 업체에서의 매입을 다루는 업무입니다. '물건을 사온다.' 는 본질은 내수 구매와 동일합니다만, 물 건너 오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통관 업무가 존재합니다. 수입..
이번 포스트는 자재 출고 유형에 대하 정리해 보겠습니다. 자재 관리 업무는 크게 입고 관리, 재고 관리, 출고 관리로 나뉘어 질 수 있습니다. 자재 출고 관리는 생산 현장으로의 출고가 거의 대부분이지만, 다른 출고 유형들도 존재합니다. 자재 출고의 유형은 "생산 출고, 판매 출고, 기타 출고" 로 정의되며, 각각은 별도의 프로세스를 가집니다. 생산 출고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를 출고하는 유형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자재 출고는 생산 출고에 속합니다. 생산 출고는 생산계획 또는 작업지시에 따른 BOM의 소요 자재를 출고하는 형태입니다. 생산 출고는 생산 구분에 따라 현장 출고와 외주 출고로 구분됩니다. 현장 출고는 생산을 내부 생산 라인에서 생산했을 때 적용되며, 외주 출고는 생산을 외주 임가공 업체에..
수출 영업 관리에 있어서, 물건을 창고에서 출고하면서, 수출Invoice를 처리하고, Commercial Invoice와 Packing List를 신고하는 과정은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 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출고 이후의 매출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수출 영업 관리의 매출 처리 과정은 내수 영업과 비교해서, 통관업무인 수출BL처리와 수출신고필증 단계가 추가됩니다. 영업 관리 팀은 Commercial Invoice와 Packing List를 신고한 후에, 수출BL 및 수출신고필증 서류를 발급받게 됩니다. 발급 받은 서류의 내용을 수출BL과 수출신고필증 단계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하고, BL환율 또는 면장환율로 원화를 계상하여, 회계에 반영하게 됩니다. 이러한 업무 절차에서 수출 업무의 특성 상..
오늘은 수출 업무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의 판매는 내수판매, 직수출, Local(구매승인서)의 유형이 있습니다. 내수판매는 자국 내에서의 판매를 의미하며, 직수출은 해외로의 판매를 의미합니다. Local(구매승인서)는 좀 복잡한데, 판매하는 대상 기업이 해외 판매를 목적으로 물품을 구매한다는 구매승인서를 발급 받았을 경우에 해당합니다. Local(구매승인서)는 엄밀히 이야기하면, 내수판매에 속하여, 내수판매 프로세스를 같이 사용하지만, 부가세 부분과 같이 내수판매와 다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차후에 좀더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매승인서란 내국신용장에 의하지 아니하고 국내에서 생산된 물품을 외화획득용 원료 또는 물품으로 구매하는 경우에 외국환은행의 장이 내국신용장에 준하..
고객으로부터 설계변경의 요청을 받는 것을 ECR(Engineering Change Request)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설계변경 요청을 받아서 설계변경하는 작업을 기업내의 연구소에서 진행하게 되지요. 설계변경이 완료된 이후, 변경된 BOM을 적용하고, 도면을 배포하는 것이 참 어렵습니다. 하나의 설계변경을 통해서 여러 품목의 BOM이 한꺼번에 변경되어야 하고, 변경된 BOM 사용시점을 공지해야 합니다. 특히, 복잡하게 엮여있거나, BOM Level이 깊다면, BOM 변경하는데 참 많은 시간이 소요 됩니다. 영림원 소프트랩의 KSystem에서는 설계변경에 대한 프로세스를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BOM 변경 및 이력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설계변경요청등록에서 설계변경등록, BO..
품목코드체계를 설정하는 것은 기업의 마스터 정보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포스트에서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https://12foot.tistory.com/4 품목 코드 체계화.. 어렵지만 중한 것. 품목의 속성 기업의 제품, 상품, 자재들은 모두 품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이는 기업정보시스템의 물류모듈(영업/수출, 구매/수입, 생산, 물류) 안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품목은 많은 속성을.. 12foot.tistory.com 품목코드는 기업의 품목(제품, 반제품, 원자재, 부자재등)에 대한 주민등록번호를 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적어도 우리 안에서는 Unique한 번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함입니다...
신용카드매출전표수령명세서 : 과세/영세/면세되는 재화를 매입하면서 대가를 신용카드/현금으로 결제하여, 신용카드매출전표를 수령하였을때 제출하는 부속서류. 매입세액 공제되는 것만 작성하고, 불공제일 경우에는 부속서류에 작성하지 않습니다. 신용카드매출전표수령명세서는 현금영수증, 법인카드, 신용카드 등의 매입 거래내역을 합계표로 정리하여, 작성하는 부가세 신고의 부속서류입니다. 매출이라는 말이 들어갔다고 해서, 매출이 아닙니다. 매입입니다. 부가세대급금 계정에 대한 것이니 헷갈리시면 안되요. 매출은 신용카드 매출 전표 발행 집계표로 신고하게 됩니다. 부가세신고서에는 두번째 장의 (14)그 밖의 공제매입세액명세 란의 (40)번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 제출분란에 기입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현금영수증, 화물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