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자재출고
- 무상사급
- 아이들
- 부가세신고
- 시스웨어
- 실제원가
- 기초업무관리
- 재고관리
- 수불부
- 영업프로세스
- 비과세 근로소득
- 기타출고
- 기업정보시스템
- 워크센터
- 거래처관리
- ERP
- KSystem
- BOM
- 급여처리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생산관리
- 스마트공장
- 영업관리
- 원가계산
- 제조업
- 영림원
- 기준정보
- 제조원가
- 정보시스템
- Today
- Total
목록기업정보시스템 (125)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거래처는 기업에서 품목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준정보입니다. 거의 모든 부서가 이 거래처정보를 공통적으로 활용하게 됩니다. 이번 장에는 거래처 정보에 대한 종류와 각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고 관리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거래처 정보는 여러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거래처 등록 - 거래처 기준정보 및 세무정보 거래처명, 거래처코드, 사업자번호, 대표자, 업종/업태 등이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기업의 기준정보(Master Data)로서, 모든 부서가 공통되게 사용되어야 하므로, 회계팀에서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거래처 구분 : 거래처 기준정보에는 매출이 일어나는 거래처와 매입이 일어나는 거래처, 회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사용..
1. 품목의 속성 기업의 제품, 상품, 자재들은 모두 품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이는 기업정보시스템의 물류모듈(영업/수출, 구매/수입, 생산, 물류) 안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품목은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몇몇 속성은 정보만을 담고 있지만, 몇몇 속성은 해당 품목을 사용했을때 기업정보시스템에 반영되는 프로세스나 형태가 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인 속성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품목코드 : 품목을 지칭하는 일련의 번호 또는 INDEX, 코드입니다. UNIQUE 한 정보입니다. 품목명 : 품목을 인지할 수 있는 명칭입니다. 중복될 수 있습니다. 규격 : 품목의 규격을 나타냅니다. 물리적인 수치가 될 수도 있고, 품목명으로 구분이 안되는 특성을 표기하기도 합니..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주상거래를 위해 관리하는 품목(재고를 관리하는 대상)을 재고자산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기업회계에서는 이를 재무상태표 상의 유동자산 중 한 부분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죠. 재고자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회계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1. 정상적인 영업활동 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생산(제품, 반제품, 재공품) 또는 보유중인 자산 2. 생산이나 용역 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저장품) 즉, 주상거래(기업의 주된 상업 거래)를 위해 생산하거나, 취득하는 품목과 생산을 위해 필요한 품목들을 재고 자산이라 합니다. 1. 재고자산의 종류 재고자산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종 류 내 용 판매여부 투입여부 상 품 취득한 품목을 별도의 가공없이 그대로 판매하는 품목 O O 제 ..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재고관리는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재고관리는 항상 강조되어 왔고, 재고수량에 대한 신뢰성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에서 장부상으로 나타나는 재고를 실물재고수량으로 믿고 영업활동을 하는 회사는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재고라는 것이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실물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계산되어지는 숫자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컨설팅 중에서도 재고 숫자를 한번 놓치면 그 차이수량에 대한 원인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재고수량은 다음과 같은 공식에 따릅니다. 이월재고수량 + 기간입고수량 - 기간출고수량 = 재고수량 여기서, 이월재고수량은 전월재고수량이 아니라, 移(옮길 이) 越(넘을 월)을 써서 이전기간에서 넘어온 재고수량..
기업정보시스템을 사용하다보면 단위, 단가라는 말이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무심코 지나치게 되는 이 단어들은 그 의미를 모르고 잘못 사용하게 되었을때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모 기업의 한 여사원이 구매단위를 잘못넣어서 100개가 10,000개로 둔갑하여 물건이 들어온 경우가 발생했었죠... 이에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단가, 원가들에 대한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단위' 단가라는 용어는 쉽게 풀이하면 단위당 가격 이라는 뜻입니다. 단가를 알려면 먼저 단위에 대한 정의부터 알아보죠. 네이버 국어사전 단위 : 길이, 무게, 수효, 시간 따위의 수량을 수치로 나타낼 때 기초가 되는 일정한 기준. 근, 되, 자, 그램, 리터, 미터, 초 따위가 있다. 국어사전에 나타난 것 처럼 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