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비과세 근로소득
- ERP
- 무상사급
- 수불부
- 급여처리
- 자재출고
- 시스웨어
- 제조업
- 영업프로세스
- 부가세신고
- 재고관리
- 기업정보시스템
- 아이들
- 워크센터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KSystem
- 실제원가
- BOM
- 원가계산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영업관리
- 기준정보
- 생산관리
- 제조원가
- 스마트공장
- 거래처관리
- 기초업무관리
- 정보시스템
- 기타출고
- 영림원
- Today
- Total
목록무상사급 (3)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우리의 의자 생산 공장은 계속 번창하고 있습니다. 어느날 영업관리부장과 생산관리부장이 함께 찾아와서, 주문이 많이 밀려 공장의 CAPA가 오버되어, 납기를 제대로 못 맞추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고 토로하였습니다. 따라서, 공장을 확충하여, CAPA를 늘려야 한다고 영업관리부장은 강력히 주장하고 있고, 생산관리부장은 수주의 변동성이 잦아, 쉽게 사람을 뽑고, 공장을 추가 증설하는 것은 리스크가 크다고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수주 물량에 대해 옆의 (주)의자임가공 회사에게 생산을 맡겨 보는 것이 어떤지 건의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외주생산은 사내에서 회사의 자원으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자원으로 생산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구매와 생산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을 외주 생산이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는 무상사급으로 자재를 공급하여, 외주생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와 회계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외주생산은 생산이므로 생산관리 모듈안에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관할 부서가 생산관리이며, 생산관리의 생산계획에 의거하여, 발주가 진행 됩니다. 이에 대해 발주되는 생산품을 만들기 위한 자재가 외주처로 출고됩니다. 외주처는 공급받은 자재를 가지고 생산을 하고, 생산품을 납품하게 됩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부분은 외주처에 출고된 자재는 타처에 보관된 자산으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생산품을 납품하는 시점에 외주처에 보관된 자재를 생산품에 사용했다고 인식하면서 자재가 생산 투입되는 것으로 처리합니다. 위의 과정을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도식화 해보았습니다. 1. 외주계약관리 ..
제품 또는 반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기업 내부의 자원만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자체 생산과 기업 외부의 자원을 사용하는 생산하는 외주 생산이 존재합니다. 자원이라함은 생산라인(기계장치, 설비등)과 인적자원, 재료(원자재, 부자재, 소모자재등)을 의미합니다. 외주 생산(외주임가공)은 외주임가공업체의 위치에 따라 사내외주와 사외외주가 있으며, 생산자재의 공급방식에 따라 무상사급과 유상사급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사내외주와 사외외주 사내외주는 외주업체가 기업의 생산조직 및 부서처럼 움직인다고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생산관리팀에서 내려주는 생산계획과 일자별 작업지시에 의거하여, 생산을 하고, 자재팀으로부터 자재를 공급받고, 품질팀이 품질검사를 하게 됩니다. 외주업체는 오롯이 생산만 하게 되며, 생산량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