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원가계산
- 스마트공장
- 수불부
- 생산관리
- 영업프로세스
- 비과세 근로소득
- 자재출고
- 기준정보
- 영업관리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기업정보시스템
- 제조원가
- 급여처리
- 워크센터
- 제조업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BOM
- 기초업무관리
- KSystem
- 정보시스템
- 영림원
- 거래처관리
- 무상사급
- 재고관리
- ERP
- 아이들
- 부가세신고
- 실제원가
- 기타출고
- 시스웨어
- Today
- Total
목록ERP (71)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보통 미수란, 거래처에게 매출을 일으키고 아직 못 받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미수 관리는 이런 못 받은 금액을 관리하여, 불량채권으로 변하지 않도록 조기에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매출이 많아도 유동성 문제가 생기는 것은 미수관리를 제대로 못했기 때문에 발행한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수관리는 각 거래처의 청구 조건 및 회사내부의 정책에 따라 상당히 달라질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미수계산방식, 회계미수와 영업미수와의 차이, Dudate 관리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미수계산방식 미수금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현미수금 = 기초미수금잔액 + 매출액(공급가액+부가세) - 입금액 자! 엄청나게 간단합니다.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자주 쓰는 형태로 미수현황을 나타내도록 하겠습니다. ..
기업정보시스템(Enterprise Information System) 안에는 여러가지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각각의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는 형태로 기업에서 목적에 충실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정보에 대한 입력의 편의성, 전달성,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 하고 있습니다. 이들 시스템은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기업정보시스템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존재하지만, 도입하는 사람으로서는 항상 헷갈릴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각각의 시스템에 대한 역할과 범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는 기업정보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ER..
BPM 이란??? BPM이란 말을 들으면, 음악하는 사람과 IT를 하는 사람은 아마 전혀 다른 생각을 할 것이다. 음악을 하는 사람은 비트를 생각하며, 머리 속으로 악보를 그릴 것이고, IT를 하는 사람은 프로세스 맵을 생각할 것이다. 필자는 IT를 하는 사람이므로, 당연히 프로세스 맵을 떠올린다. BPM은 Business Process Management의 약어로, 말 그대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이다. 각각의 회사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한국말로 풀으면 업무절차도를 가지고 있다. 쉽게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으면, 어떤 행위를 하고, 그 행위가 타부서에 어떻게 전달되고, 전달받은 부서는 어떤 행위를 하는지를 말한다. 이를 보기 좋게 도식화 해놓은 것을 Business Process Map이라하고, 규정된..
거래처는 기업에서 품목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준정보입니다. 거의 모든 부서가 이 거래처정보를 공통적으로 활용하게 됩니다. 이번 장에는 거래처 정보에 대한 종류와 각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고 관리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거래처 정보는 여러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거래처 등록 - 거래처 기준정보 및 세무정보 거래처명, 거래처코드, 사업자번호, 대표자, 업종/업태 등이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기업의 기준정보(Master Data)로서, 모든 부서가 공통되게 사용되어야 하므로, 회계팀에서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거래처 구분 : 거래처 기준정보에는 매출이 일어나는 거래처와 매입이 일어나는 거래처, 회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사용..
1. 품목의 속성 기업의 제품, 상품, 자재들은 모두 품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이는 기업정보시스템의 물류모듈(영업/수출, 구매/수입, 생산, 물류) 안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품목은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몇몇 속성은 정보만을 담고 있지만, 몇몇 속성은 해당 품목을 사용했을때 기업정보시스템에 반영되는 프로세스나 형태가 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인 속성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품목코드 : 품목을 지칭하는 일련의 번호 또는 INDEX, 코드입니다. UNIQUE 한 정보입니다. 품목명 : 품목을 인지할 수 있는 명칭입니다. 중복될 수 있습니다. 규격 : 품목의 규격을 나타냅니다. 물리적인 수치가 될 수도 있고, 품목명으로 구분이 안되는 특성을 표기하기도 합니..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재고관리는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재고관리는 항상 강조되어 왔고, 재고수량에 대한 신뢰성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에서 장부상으로 나타나는 재고를 실물재고수량으로 믿고 영업활동을 하는 회사는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재고라는 것이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실물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계산되어지는 숫자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컨설팅 중에서도 재고 숫자를 한번 놓치면 그 차이수량에 대한 원인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재고수량은 다음과 같은 공식에 따릅니다. 이월재고수량 + 기간입고수량 - 기간출고수량 = 재고수량 여기서, 이월재고수량은 전월재고수량이 아니라, 移(옮길 이) 越(넘을 월)을 써서 이전기간에서 넘어온 재고수량..
기업정보시스템을 사용하다보면 단위, 단가라는 말이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무심코 지나치게 되는 이 단어들은 그 의미를 모르고 잘못 사용하게 되었을때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모 기업의 한 여사원이 구매단위를 잘못넣어서 100개가 10,000개로 둔갑하여 물건이 들어온 경우가 발생했었죠... 이에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단가, 원가들에 대한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단위' 단가라는 용어는 쉽게 풀이하면 단위당 가격 이라는 뜻입니다. 단가를 알려면 먼저 단위에 대한 정의부터 알아보죠. 네이버 국어사전 단위 : 길이, 무게, 수효, 시간 따위의 수량을 수치로 나타낼 때 기초가 되는 일정한 기준. 근, 되, 자, 그램, 리터, 미터, 초 따위가 있다. 국어사전에 나타난 것 처럼 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