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RP
- 정보시스템
- 제조업
- 무상사급
- 기준정보
- 원가계산
- 비과세 근로소득
- 실제원가
- 워크센터
- 영업관리
- 부가세신고
- 자재출고
- 아이들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영림원
- 영업프로세스
- BOM
- 재고관리
- 수불부
- 거래처관리
- 스마트공장
- 급여처리
- 기업정보시스템
- KSystem
- 기타출고
- 제조원가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시스웨어
- 기초업무관리
- 생산관리
- Today
- Total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배합공정관리 (배합비와 BOM) 본문
화학 또는 식품업종 등에서 배합공정은 일반적인 BOM과는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BOM은 A라는 품목을 1단위 생산하기 위한 자재의 소요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 BOM을 기준으로 자재의 소요량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학업종에서는 배합이라는 개념을 씁니다. 배합은 여러 자재를 혼합한 비율로 구성됩니다. 이 배합비는 여러 규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합비를 구성하고, 이 배합비에 의거한 제품BOM을 구성하게 됩니다. 즉, 배합비와 제품은 1:N의 구성을 갖는 형태가 됩니다. 배합비는 하나의 배합을 구성하는 자재의 수량 또는 비율을 관리하는 형태이고, BOM은 제품 1단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자재의 단위 수량을 관리하는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체로 하나의 배합비로 여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레진, PVC를 녹여서, 제품을 M 단위로 생산하는 제조 공정에서 하나의 배합으로 여러 규격의 제품을 생산하게 됩니다. 동일한 배합비로 같은 양을 배합하더라도, 두께와 폭에 따라 생산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같은 배합비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생산량은 두께를 얇은 규격은 더 많이 생산되게 되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더 적은양을 생산하게 됩니다. 이러한 배합비의 구성은 각 제품의 생산단위 당 소요량으로 환산하여 BOM을 구성하게 됩니다. 생산계획 또는 작업지시서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계획수량은 개별 자재의 소요수량을 산출할 수도 있지만, 계획수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배합해야 하는 배합 수 또는 가마 수, 배치 수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
배합공정은 일반적인 제조ERP의 BOM 구성과는 다른형태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또한, 배합공정의 작업지시는 몇 개 만들어라가 아닌, 배합을 기준으로 몇회 배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지시를 내려야 합니다. 따라서, 배합공정에 대해서 각 업종에 따라서 맞춤형태의 시스템 제공이 필요합니다.
배합비에 대한 관련 자료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기업정보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 현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활용 (2) | 2021.07.01 |
---|---|
협력업체와의 SCM (Supply Chain Management) (0) | 2020.12.21 |
렌탈 서비스 기업의 프로세스 (0) | 2020.08.31 |
AS-IS 분석을 위한, Business Model 분석 (0) | 2020.07.28 |
MTS+MTO 생산방식에서의 S&OP 체계구축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