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초업무관리
- 자재출고
- 수불부
- 제조업
- 영업관리
- 기타출고
- 실제원가
- 스마트공장
- 재고관리
- 아이들
- 급여처리
- 거래처관리
- 기업정보시스템
- 생산관리
- 정보시스템
- KSystem
- 원가계산
- 부가세신고
- 시스웨어
- 제조원가
- 기준정보
- 영림원
- 비과세 근로소득
- ERP
- BOM
- 워크센터
- 무상사급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영업프로세스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Today
- Total
목록실제원가 (3)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제조원가계산에는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이 있습니다. 이 세가지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1. 실제원가계산 1-1. 해당 기간에 발생한 모든 원가요소를 실제로 발생한 금액으로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방식. 1-2. 사후원가계산이라고 하며, 외부의 회계정보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재무정보. 1-3. 기간이 종료된 후에야 원가계산이 이루어지므로, 제조원가의 인식 시점이 늦음. 2. 정상원가계산 2-1. 직접비(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는 실제 발생한 기준으로 간접비(간접노무비, 제조간접비)등은 미리 정해놓은 조업도와 예산에 의거한 예정배부율로 계산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방식. 2-2. 관리목적상의 원가계산이며, 내부의 회계정보이용자에게 제공. 2-3. 기간이 종료되기 전에도 제조..
이번 포스트에서는 마감 시점에 원가계산과 수불부의 반영, 회계전표 생성을 순차적으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마감프로세스는 밴더 사마다 각각 다르지만, 실제 원가를 계산하여, 수불부와 회계에 반영하는 로직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고수량과 입고금액은 일별로 이루어지는 구매입고 시에 수불부에 채워지게 됩니다. 월 마감 시, 구매입고내역의 모든 입고 건은 매입회계전표를 생성하여서, 수불부의 입고금액과 회계 상의 원재료 차변 합계 금액을 일치시킵니다. 생산 실적 입력 시, 소요된 자재와 투입수량을 입력하게되면 수불부에 출고수량이 반영되게 됩니다. 자재단가계산을 통해 구한 자재단가로 출고금액을 산정하여 수불부에 반영합니다. 총출고금액을 원자재에서 빼서 원재료비(제)로 대체 처리하여, 회계상..
기업은 회기 또는 매월 기업의 경영성과를 보고하기 위한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재무재표를 작성하기 위한 분개장, 총계정원장, 시산표, 합계잔액시산표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수기로 작성하던 시기에서 벗어나 회계정보시스템(AIS)의 활용으로 보다 편하게 재무제표를 도출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결산 전에 회기 또는 매월 말의 재무제표를 보면 아직 빈칸이 남아 있는 형태가 보입니다.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제품, 상품, 반제품, 원자재, 부자재) 잔액, 손익계산서의 당기제품제조원가, 기말제품재고액, 제품매출원가, 기말상품재고액, 상품매출원가, 제조원가명세서의 원재료비, 당기총제조원가, 당기제품제조원가 등이 비어져 있는 상태로 나타납니다. 비워져 있는 란은 방정식과 같이 하나의 값을 구하면 다른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