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스웨어
- 기타출고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제조업
- 영업관리
- 자재출고
- 기업정보시스템
- 영업프로세스
- BOM
- ERP
- 기준정보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비과세 근로소득
- 워크센터
- 아이들
- 무상사급
- KSystem
- 기초업무관리
- 재고관리
- 급여처리
- 스마트공장
- 정보시스템
- 원가계산
- 부가세신고
- 수불부
- 생산관리
- 제조원가
- 거래처관리
- 영림원
- 실제원가
- Today
- Total
목록기업정보시스템/부가세신고 (11)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부가세 신고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매출세액과 나. 매입세액을 각각 구해서, 납부(환급)세액을 구하고, 거기에 가감항목을 더하여, 차가감 납부(환급) 세액을 구하는 방식으로 산출하게 됩니다.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은 각각 매출계산서, 매입계산서의 각 종류별로 집계한 금액을 말합니다. AIS(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회계정보시스템) 또는 ERP에서는 회계전표의 부가세예수금, 부가세대급금 금액을 집계하여,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배추유통회사에서 배추를 110,000 원을 받고 팔았다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회계 분개처리가 이루어지며, 부가세에 대한 자료가 정리됩니다. 배추유통회사에서 배추를 88,000 원을 주고 사왔다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회계..

부가가치세신고 기간은 6개월이며, 각 과세기간을 3개월로 나누어 중간에 예정신고기간을 가집니다. 즉, 매입세액과 매출세액을 각각 발생할 때마다 신고하여,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3개월에 1번씩, 매입세액과 매출세액을 집계하여, 신고하고 납부하게 됩니다. 일반과세자(법인, 개인 일반사업자) 는 위의 표와 같이 신고하면 됩니다. 하지만, 간이과세자는 1년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단, 7월1일을 기준으로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된 경우, 1월1일~6월30일을 과세기간으로 7월 25일까지 신고하고, 납부하여야 합니다. 신규사업자는 사업개시일부터, 사업개시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가 과세기간으로 납부하게됩니다. 당연히 폐업자는 폐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시작일부터 폐업일까지가 과세..

부가세신고에 대한 기본개념부터 신고까지 시리~~~이즈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부가세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란 생산 및 유통과정의 각 단계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입니다. 예를 들어, 배추를 사와서, 판매하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배추를 사고, 판매하는 과정을 유통과정이라고 하게 되고, 이 유통과정에서 추가되는 가치를 부가가치라고 합니다. 배추를 직접 사는 것보다, 가까이에 있는 마트에서 사는 것이 편리하고, 이 편리함을 가치(돈)을 측정하여, 배추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부가가치세라고 합니다. 부가가치세는 간접세입니다. 우리가 직접 국세청에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물건 또는 서비스를 사면서 부가가치세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