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재고관리
- ERP
- 부가세신고
- 기초업무관리
- 정보시스템
- 무상사급
- 스마트공장
- 제조원가
- 원가계산
- 생산관리
- 거래처관리
- BOM
- 기준정보
- 급여처리
- KSystem
- 비과세 근로소득
- 시스웨어
- 기타출고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영업관리
- 수불부
- 워크센터
- 자재출고
- 영림원
- 아이들
- 실제원가
- 제조업
- 영업프로세스
- 기업정보시스템
- Today
- Total
목록재고자산 (2)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주상거래를 위해 관리하는 품목(재고를 관리하는 대상)을 재고자산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기업회계에서는 이를 재무상태표 상의 유동자산 중 한 부분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죠. 재고자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회계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1. 정상적인 영업활동 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생산(제품, 반제품, 재공품) 또는 보유중인 자산 2. 생산이나 용역 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저장품) 즉, 주상거래(기업의 주된 상업 거래)를 위해 생산하거나, 취득하는 품목과 생산을 위해 필요한 품목들을 재고 자산이라 합니다. 1. 재고자산의 종류 재고자산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종 류 내 용 판매여부 투입여부 상 품 취득한 품목을 별도의 가공없이 그대로 판매하는 품목 O O 제 ..
기업정보시스템에서 재고관리는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재고관리는 항상 강조되어 왔고, 재고수량에 대한 신뢰성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에서 장부상으로 나타나는 재고를 실물재고수량으로 믿고 영업활동을 하는 회사는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재고라는 것이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실물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계산되어지는 숫자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컨설팅 중에서도 재고 숫자를 한번 놓치면 그 차이수량에 대한 원인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재고수량은 다음과 같은 공식에 따릅니다. 이월재고수량 + 기간입고수량 - 기간출고수량 = 재고수량 여기서, 이월재고수량은 전월재고수량이 아니라, 移(옮길 이) 越(넘을 월)을 써서 이전기간에서 넘어온 재고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