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제조원가
- 기초업무관리
- 급여처리
- 정보시스템
- KSystem
- 기준정보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무상사급
- 수불부
- ERP
- 자재출고
- 아이들
- 거래처관리
- 원가계산
- 영림원
- 생산관리
- 영업프로세스
- 비과세 근로소득
- 워크센터
- 부가세신고
- 기업정보시스템
- 실제원가
- 시스웨어
- 재고관리
- BOM
- 제조업
- 스마트공장
- 영업관리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기타출고
- Today
- Total
목록자재관리 (3)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이번 포스트는 자재 출고 유형에 대하 정리해 보겠습니다. 자재 관리 업무는 크게 입고 관리, 재고 관리, 출고 관리로 나뉘어 질 수 있습니다. 자재 출고 관리는 생산 현장으로의 출고가 거의 대부분이지만, 다른 출고 유형들도 존재합니다. 자재 출고의 유형은 "생산 출고, 판매 출고, 기타 출고" 로 정의되며, 각각은 별도의 프로세스를 가집니다. 생산 출고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를 출고하는 유형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자재 출고는 생산 출고에 속합니다. 생산 출고는 생산계획 또는 작업지시에 따른 BOM의 소요 자재를 출고하는 형태입니다. 생산 출고는 생산 구분에 따라 현장 출고와 외주 출고로 구분됩니다. 현장 출고는 생산을 내부 생산 라인에서 생산했을 때 적용되며, 외주 출고는 생산을 외주 임가공 업체에..

자재의 매입은 구매팀이 담당하며, 입고 시, 자재팀이 담당하는 자재창고로 입고됩니다. 이 자재들은 생산현장으로 출고되어 제품 또는 반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게 됩니다. 자재가 생산현장으로 출고되는 과정을 효율척으로 통제하기 위해 각 자재별로 출고구분을 정의하게 됩니다. 1. 작업지시와의 연결여부 먼저 주요 원자재와 같이 출납이 철저히 관리되어야 하는 자재는 '작업지시별 출고'를 사용합니다. '작업지시별 출고'는 작업지시에 따른 소요량만큼을 작업지시별로 출고하게 되며, 사용후 남은 자재에 대해서도 작업지시별로 반납되게 됩니다.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지시에 따른 생산과 투입실적이 관리되므로, 작업지시별로 출고량 투입량 반납수량 잔량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작업지시별로 출고가 진행되므로, 동일..

어느 날, 의자 만드는 공장 안을 시찰(?) 해보니 공장 안이 엉망인 것을 알았습니다. 재고를 쌓아두는 공간이 부족하여, 자재와 생산품이 뒤죽박죽 섞여 있고,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생산해야 할 공간도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실제로 확인된 자재의 수량과 기록된 자재의 수량이 너무나 많이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재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생산팀, 생산관리팀은 생산에 중점을 두게하고, 생산을 위한 필요 자재를 준비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자재팀 부서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자재팀의 중점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재창고의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것 생산을 위한 자재를 준비하고 출고 할 것 파악하기 어려운 생산현장의 재고를 최대한 줄일 것 불필요하게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