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실제원가
- 부가세신고
- 영업관리
- 제조업
- 기초업무관리
- 수불부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KSystem
- 스마트공장
- 정보시스템
- 아이들
- ERP
- 생산관리
- 영림원
- 급여처리
- 워크센터
- 재고관리
- BOM
- 기업정보시스템
- 비과세 근로소득
- 원가계산
- 기타출고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자재출고
- 제조원가
- 거래처관리
- 기준정보
- 무상사급
- 영업프로세스
- 시스웨어
- Today
- Total
목록매출목표 (2)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매년 10월~11월이 오면 기업들은 내년도 경영계획을 수립합니다. 경영계획은 내년에 대한 총 매출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매출계획을 수립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매출계획에 의거하여 각 지원부서에서 생산, 구매, 비용 및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내년도 손익을 추정하게 됩니다. 경영계획은 각 기업의 여력에 따라 그 깊의의 차이는 있지만, 경영성과 달성의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경영계획이 내년도 사업 목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면, 실제로 경영계획 상의 매출 목표와 손익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속적인 세부목표 설정과 통제가 필요합니다. 영업은 매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월별 누적 실적을 대비한 현시점 달성율을 확인하고, 남은 기간 동안의 매출 목표를 새롭게 갱신하..

KPI 지표는 먼저 전사적 KPI 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지표인 후행KPI를 설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매출목표달성 이라는 전략적 과제를 지표로 계량화하면, 매출목표달성율이라는 KPI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매출목표달성을 위해서 여러가지 추가적인 과제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KPI를 설정해야만 합니다. 이렇게 전사적 KPI 달성위한 KPI를 후행KPI라고 하며, 매출목표달성율에 대한 후행KPI는 기존고객매출신장율, 신규고객 매출액, 신제품매출달성율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막연하게 매출목표달성이라는 지표만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부적인 지표를 추가적으로 설정하여, 이를 관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매출목표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KPI의 설정은 조직 구성원들이 가야할 방향을 가르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