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제조업
- 영림원
- 아이들 가볼만한 곳
- 원가계산
- 거래처관리
- 실제원가
- 급여처리
- 시스웨어
- 무상사급
-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아이들
- 영업프로세스
- 영업관리
- ERP
- KSystem
- 워크센터
- 자재출고
- 스마트공장
- 정보시스템
- 기업정보시스템
- 생산관리
- 기타출고
- 재고관리
- BOM
- 기초업무관리
- 기준정보
- 수불부
- 부가세신고
- 비과세 근로소득
- 제조원가
- Today
- Total
목록거꾸로보는업무관리 (2)
한 이불 속 열두발바닥

제조회사는 원/부자재를 다른 회사에서 매입하여,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를 합니다. 물류회사는 상품을 다른 회사에서 매입하여, 유통 과정을 거쳐서 판매를 합니다. 이러한 매입 행위는 자국 내의 회사에서 매입과 해외 업체에서 매입으로 나눌 수 있으며, 내수 구매와 수입으로 구분됩니다. ERP System에서는 구매 모듈 안에 내수 구매와 수입 프로세스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영업 모듈도 내수 판매와 수출 프로세스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 이번 프로세스는 구매 모듈 중의 수입 프로세스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말씀드린데로 수입 업무는 해외 업체에서의 매입을 다루는 업무입니다. '물건을 사온다.' 는 본질은 내수 구매와 동일합니다만, 물 건너 오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통관 업무가 존재합니다. 수입..

판매단가에 대한 기준정보를 관리하면, 영업 업무 프로세스에서 판매단가는 기준정보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해당 업무 단계의 전 단계에서 이미 판매단가가 적용되어 있다면, 전 단계의 판매단가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수주를 입력한 후에 수주에 대한 거래명세서를 등록한다면 수주의 판매단가를 거래명세서에 적용합니다. 수주 단계에서 이미 판매단가를 고개과 합의한 상태이므로 수주의 판매단가를 그대로 이어가는게 합리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가가 합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주가 이루어지는 상황도 있으므로, 거래명세서 작성 시, 판매 단가 가 기준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 기능도 있어야만 합니다. 이에 대해, ERP System 에서는 판가의 적용을 ① 전단계 판가, ② 단가 기준정보 으로 구..